ページの先頭です。 メニューを飛ばして本文へ
現在地 トップページ > 総務部 > 県民情報広報課 > 방재・안전

本文

방재・안전

更新日:2019年12月1日更新 印刷

방재・안전 기본정보

재해에 대한 평소의 대비

<비상 반출품>
도장, 현금, 저금통장, 손전등, 전지, 라이터, 깡통따개, 나이프, 구급상자, 양초, 의류, 장갑, 모포, 헬멧, 방재모, 물, 젖병, 식품, 인스턴트라면, 라디오(FM 문자다중방송 수신기능이 있는 라디오라면 더욱 좋다.)
※가정에 현재 있는 것으로 대용할 수 있는 것부터라도 좋으므로, 우선은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<비상 비축품>
 식량 등이 원활히 유통되기까지 평균 3일이 걸립니다. 3일분 이상의 식량과 물(하루에 1인당 3리터가 적당)을 준비합시다. 유아나 고령자 등이 있는 가정은 분유나 먹기 쉬운 식료, 기저귀, 지병으로 복용중인 약 등도 준비해 둡시다.

 구급상자, 물(1인 하루 3리터가 기준), 식량(건빵·α쌀·통조림·레토르트 식품 등 ), 냄비·휴대풍로, 의류·침낭·모포, 비옷, 예비 전지, 필기용구

※자동차의 트렁크는 가까운 비축 창고가 됩니다.
 자동차의 트렁크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곤란한 모포, 삽이나 캠핑 세트 등을 비축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. 재해시에는 교통 규제를 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은 어렵지만 집 근처의 공터나 주차장 등에서 일시적인 피난 생활이 가능하게 됩니다. 단, 이코노미 증후군에 주의합시다.

태풍·집중호우시의 마음가짐

  • 텔레비전이나 라디오, 방재행정 무선으로 들어오는 기상 정보에 충분히 주의합시다. 함부로 외출하지 않도록 합시다. 외출시는 빨리 귀가합시다.
    Love FM76.1(82.7 기타큐슈)은 재해관련 뉴스나 권고를 다중언어로 방송합니다.
  • 집 주위를 점검합시다.
    • 덧문을 닫고, 덧문이 없는 유리문에는 커텐을 치든지 아니면 천으로 내장을 합시다.
    • 빨래 건조대나 화분은 날려가기 쉽기 때문에 실내에 둡시다.
  • 피난권고 및 피난지시가 내려진 경우는 화재 발생의 위험이 다가오므로 피난 권고나 대피령이 내려졌을 경우는, 재해 발생의 위험이 다가오고 있으므로 예상되는 재해에 대응하여 지정된 긴급 피난 장소로 철거 피난합시다..
  • 피난소 등으로 이동할 여유가 없는 경우는 생명을 지키는 최소한의 행동을 취하시기 바랍니다.대피소 등으로 이동하는 여유가 없는 경우는 생명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조치를 취하십시오. 오히려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다고 스스로 판단할 경우에는 인근의 안전한 건물 등에 피난하거나 건물내의 보다 더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.
  • 피난권고 및 피난지시가 없더라도 주위의 상황을 확인하여 위험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신속히 자주적으로 피난합시다.
  • 토석류, 벼랑붕괴, 땅 울림과 같은 토사 재해의 경우, 재해를 당하면 생명이 위험한 경우가 많습니다. 집중호우 및 장기간의 비로 위험을 느끼거나 피난권고 등이 내려진 경우는 신속히 피난을 고려합시다. 정해진 피난장소에 피난할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견고한 건물의 2층 이상에서 경사면과는 반대에 위치한 방으로 피난합시다.

지진시의 마음가짐

  • 우선 진정하고 신변의 안전을
    • 흔들림을 느끼면 우선, 튼튼한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곳 아래에 몸을 숨깁시다. 방석같은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머리 부분을 보호합시다.
    • 흔들림을 느끼면, 현관 등의 문을 열어 비상 탈출구를 확보합시다.
    • 주위의 상황을 잘 확인하고, 당황하여 밖으로 뛰쳐나오는 일 없이, 진정하고 행동합시다.
  • 당황하지 말고 냉정하게 화재를 막는다. ※큰 소리로 이웃에 말을 걸어 다 함께 협력하여 초기진화에 노력합시다.
    • 사용중인 가스기구, 스토브 등은 재빠르게 불을 끕시다.
    • 가스기구는 개폐 장치를 닫고, 전기기구는 전원 플러그를 뽑읍시다.
    • 지진이 일어난 후에 피난할 경우, 전류 차단기를 끄고 나서 피난합시다.
       (지진으로 전기 기기가 전도해서 타기 쉬운 산란물 등에 접촉해 불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.)
    • 만약에 불이 나면, 우선 소화기나 삼각 양동이와 같은 소화 용구로 불길이 작을 때 진화합시다.
      ※초기에 소화할 기회는 3회 있습니다.
      (옥외에서는 벽돌담의 붕괴나 간판 등의 낙하물을 조심합시다.)

(1)지진으로 흔들리기 시작했을 때··· 무리하지 말고 안전 확보를 우선해 주십시오.
(2)흔들림이 안정되었을 때
(3)발화 직후
※큰 소리로 이웃에 말을 걸어 다 함께 협력하여 초기진화에 노력합시다.

  • 좁은 골목, 담벼락 옆, 벼랑이나 강에 접근하지 않는다.
    • 좁은 골목이나 담벼락 옆은 기와 등이 떨어져 내리거나 벽돌 담이나 콘크리트담이 무너질 수도 있으므로 떨어져 있도록 합시다.
    • 벼랑이나 강가는 지반이 물러져 무너지기 쉬워져버린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장소에서 떨어져 있도록 합시다.
  • 피난시의 주의점
    • 피난할 때는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피난합시다.
    • 복장은 활동하기 쉬운 것으로 합시다.
    • 휴대품은 필요한 것만 준비하고 짊어지도록 합시다
    • 강한 지진(진도 4정도 이상)을 느꼈을 때 또는 약한 지진이어도 장시간 천천한 흔들림을 느꼈을 때는 즉시 해변에서 떨어져 서둘러 높은 건물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피난합시다.
    • 라디오 등을 통하여 해일 정보를 잘 들읍시다.
    • 산기슭이나 급경사 지역에서는 산사태, 절벽 붕괴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스스로 재빠르게 판단하여 즉시 피난합시다.
    • 예사을 초월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고려합시다. 위험하다고 느끼면 자주적으로 신속하게 피난행동을 취합시다.
  • 올바른 정보의 입수
    • 텔레비전, 라디오의 보도에 주의하고 유언비어에 흔들리지 않도록 합시다.
    • 시읍면(市町村)사무소, 소방서, 경찰서 등이 전하는 정보에 끊임없이 주의를 기울입시다.
    • 불필요한 전화는 걸지 않도록 합시다.
       특히 소방서와 같은 기관에 재해상황 등을 문의하는 것은 소방 활동 등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하지 않도록 합시다.
  • 서로 협력하여 응급 구호·구출 활동
    • 가벼운 상처 등의 처치는 모두가 서로 협력하여 응급구호를 합시다.
    • 붕괴된 건물이나 낙하물 같은 것에 깔린 사람이 있으면 지역민 모두가 서로 협력해 구출활동을 실시합시다.
  • 자동차 운전 중
    • 도로의 좌측이나 공터에 정차해 엔진을 멈춥시다.
    • 자동차 라디오로 재해정보를 들읍시다.
    • 경찰관이 교통 규제를 실시하고 있을 때는 그 지시에 따릅시다.